메뉴 건너뛰기

담적증후군(痰積症候群, Damjeok syndrome)의 정의

 

 

담적증후군(痰積症候群)이란담음(痰飮)이 원인이 되어 위장관에 경결된 부위가 촉지되나 기질적 병변은 없는 적취(積聚)를 담적(痰積)이라 하며, 이로 인한 소화기 증상 및 다양한 전신증상들의 총칭이다.

 

 

[그림 1] 담적증후군의 개념 모식도 

 

그림 1에서는 담적증후군의 개념 모식도를 통해 전통 한의학적 담적 개념이 현대 임상에서 어떻게 체계화된 증후군으로 발전했는지를 보여준다. 주요 진단 기준은 복부 경결이라는 이학적 소견과 소화기 및 전신증상의 조합이다.

 

 

 

 

 

 [그림 2] 담적증후군의 병태

 

그림 2는 담적증후군의 병태를 요약한 것으로, 선천적 위장 기능 약화와 부적절한 식습관으로 인해 위장관 내 수액 대사 장애가 발생하고, 담음이 축적되어 소화불량과 경결을 형성하며, 이 담이 전신을 순환하며 두통, 가슴 답답, 어깨통증, 피로, 불안·우울 등의 전신 증상을 유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그림 3] 담적증후군 진단과 치료의 핵심목표

 

그림 3에서는 담적증후군 진단과 치료의 핵심목표인 상복부 경결을 제시한다. 복부 경결은 담적증후군을 다른 소화기질환과 구분하는 중요한 인자로, 이를 바탕으로 진단과 치료가 진행된다.

 

 

이처럼, 담적증후군은 전통 한의학 담적 개념을 현대 임상에 적용해 체계화한 증후군으로, 복부 경결과 증상 조합을 주요 진단 기준으로 삼으며, 문헌적 근거와 임상 관찰을 통해 독립된 증후군으로 정의되고 있다. 진단과 치료에 관한 내용은 이후 순차적으로 다뤄질 예정이다.

 

 

 

 

 

 

주소: 서울시 강남구 삼성로 75길 52 성진빌딩 2층

Tel) 02-556-3711 Fax) 02-552-0417
E-mail : phlegmmass@g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