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적증후군(痰積症候群, Damjeok syndrome)의 진단 기준
담적증후군의 진단은 다음 표의 명치증상, 복부경결, 소화기 외 증상이 모두 충족되는 경우에 한하여 가능하다.
[표 1] 담적증후군의 필수 진단기준
명치증상은
일상생활 및 사회활동에 유의미한 지장을 주는 명치 압박감, 명치 통증, 명치 쓰림 증상 중 1개 이상을 포함해야 한다.
복부경결은
중완혈 부위를 중심으로 한 심부 압진에서 확인하며,
저항감만 있는 상태를 넘어서 덩어리진 경결감을 지닌 복부 경결 2–4 등급을 만족해야 한다.
이 등급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기술할 예정이다.
소화기 외 증상은
담적증후군에서 흔히 동반되는 전신적 증상으로, 소화불량에 의해 유발되거나 악화되는
두통/어지럼증, 흉부 불편감, 뒷목 어깨 뻐근함/등 통증, 피로, 불안/우울 증상 중 최소 1개 이상을 만족해야 한다.
상기 진단기준은 담적에 관해 기 발표된 문헌고찰(「담적의 진단요소 및 증후군으로서의 가치에 대한 문헌고찰」)과 임상 자료(단일기관 초진환자 약 1만명의 증상 분석통계, 추후 논문 출판 예정)를 종합하여 마련되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후속 문서와 출판을 통해 순차적으로 공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