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피로 증후군도 담적 때문

by 관리자 posted Feb 24,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만성피로 증후군도 담적 때문
청간과 보간 요법을 통해 피곤한 몸을 깨울 수 있어

 

인생이 피곤하고 고단하지 않다면 얼마나 좋을까? 일을 많이 해도, 신경을 많이 써도 피곤하지 않기를 누구나 바랄 것이다. 그러나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피곤하고 아무것도 하기 싫은 증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의학에서는 다각적인 방향에서 피로의 원인을 접근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에 대해서 제시하지 못하고 있고 치료 또한 제한적인 상황이다.

그러다 보니 사람들은 피로를 극복하고 벗어나고 싶어 다양한 시도를 하게 되는데, 가장 많이 하는 방법 중에 하나가 피로를 느낄 때 슈퍼맨으로의 변신을 기대하며 보약을 먹는 것이다. 그렇지만 일시적인 경우가 많고, 잘 먹고 잘 쉰다 해도 피로는 좀처럼 사라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그런 의미에서 만성피로는 인간에게 있어 벗을 수 없는 두껍고 무거운 옷처럼 느껴진다.

 

그래서 다양한 질병과 상관관계에 놓여 있는 담적병을 통해 만성피로의 보다 정확한 원인과 치료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210907_최서형박사2.jpg

 

흔히 ‘피로’는 ‘일상적인 활동을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전반적으로 기운이 없는 상태’로 정의한다. 이러한 피로가 1개월 이상 계속되는 경우는 ‘지속성 피로’라고 부르고,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피로’ 라고 부른다. 만성피로 증후군은 잠깐의 휴식으로 회복되는 일과성 피로와 달리, 휴식을 취해도 호전되지 않으며 매우 쇠약하게 만든다. 대부분의 피로가 그렇지만 특히 만성피로 증후군은 의학적으로 정의하고 원인을 찾아내기가 매우 애매하다. 왜냐하면 고혈압이나 당뇨병처럼 어떤 검사 수치를 가지고 진단할 수 있는 질병이 아니라, 피로라고 하는 매우 주관적인 증상으로 질병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이런저런 이론들이 제기되는데, 중추 신경계의 장애 때문이라는 주장을 비롯해 바이러스 감염을 포함한 각종 감염증, 일과성 외상이나 충격, 극심한 스트레스, 독성 물질 등이 원인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이 역시 가설 정도에 그치고 있다. 그래서 나는 피로의 원인을 의학 이론에만 맞추지 않고, 환자가 직접 느끼는 증상을 한의학적으로 분석하고 원인 을 찾아내는 방식으로 접근했다.

 

만성피로를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은 약 일곱 가지 경우가 있다. 우선 충분히 잠을 잤는데도 아침에 일어나기가 몹시 힘든 현상이다. 그다음으로 눈이 피곤해서 무슨 일이든 하기 싫어지면서 눕고 싶은 경우다. 뒷목, 어깨, 근육 등이 몸살처럼 항상 뻐근하면서 피곤하다는 경우도 많고, 정신적으로 무력해지면서 모든 게 귀찮아지고 우울한 경우도 있다. 오후 식곤증 때문에 견디기 어렵다는 사람도 있고, 너무 몸이 약해 살기 힘들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끝으로 이런저런 질병 때문에 피곤을 쉽게 느끼는 사람도 있다.


우선 아침에 피로해서 일어나기 어려운 경우는 대개 심장이 약하고, 간장에서 전날 받은 피로가 회복이 안 되면 발생한다. 우리가 자는 동안에도 심장은 쉬지 않고 우리 몸 각처에 혈액을 공급하는데, 심장이 약하면 모든 장기들이 충분한 재충전을 하지 못해 특히 아침에 피곤하다. 그리고 심장이 약하면 숙면을 취하지 못해 아침에 일어나는 것도 힘들다.

 

이럴 때는 심장을 강화시키는 처방이 필요하다. 그리고 전날 과로와 과음, 독성이 함유된 음식 섭취로 힘들어진 간장이 회복되지 않으면 몸이 무겁고 아프면서 피곤하다. 이럴 때는 간을 정화하는 청간요법이 필요하다.

 

다음은 눈의 피로를 보자. 눈은 간장에서 영양분을 공급받아 건강을 유지한다. 예로부터 눈과 간은 서로의 건강 상태를 대변하는 척도로 쓰였다. 그래서 《동의보감》에 따르면 눈은 간에 속하는 장기라 하여 목속간(目屬肝)이라 표현한다. 실제로 잠을 충분히 자지 못했거나 과음을 하는 등 간 기능이 저하되고 피로가 누적됐을 때, 눈은 빨갛게 충혈 되어 간 상태를 반영한다. 간의 피로 물질이나 해독되지 못한 독소는 곧바로 눈에 공급되기 때문에 눈은 간장의 거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눈 피로가 심한 사람에게는 간장의 독소를 제거하면서 간장의 기능을 강화시키는 보간요법을 병행한다.

 

또 근육, 특히 뒷목과 어깨 근육이 굳어지면서 얻어맞은 것처럼 피곤한 경우가 많다. 모니터를 많이 보면서 일을 하는 사람에게서 눈 피로와 함께 잘 나타나는데 이러한 경우는 위장의 담 독소가 뒷목 근육에 축적되어 발생하거나 앞서 설명한 것처럼 간장의 문제 때문이다. 이럴 때 보약은 절대 금물이고 우선적으로 담적 독소 제거와 동시에 청간요법을 실시한다.

 

한의학에서는 정신력이 약한 사람을 심담허겁(心膽虛怯)병이라고 진단한다. ‘심담허겁’은 심장과 쓸개가 약하거나 겁먹어 있다는 뜻이다. 한의학에서는 쓸개를 단순히 담즙 분비기관으로만 생각하지 않고 심장과 함께 강한 정신력의 발원지로 인식한다. 심장과 쓸개가 약하면 스트레스를 이겨나가지 못하거나 의지가 약해진다. 그리고 조금만 신경을 써도 가슴이 벌렁거리고 사는 게 힘들어서 한숨만 나오며, 매사에 귀찮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럴 때는 심장과 쓸개를 강화시키는 약을 사용하도록 권한다.

 

점심 식사 후 나른해지는 오후 식곤증 또한 담적병과 간장 기능의 장애 때문으로 보고 있다. 평소 간장이 약한 사람은 오후가 되면 아침부터 열심히 일하던 간장이 쉽게 피로해지기 때문에 점심 식사 후 빠르게 피로가 몰려온다. 또 간장이 피곤해지면 위장의 담 독소가 간장에 의해 해독되지 못하고 기승을 부리기 때문에 식곤증이 나타난다. 사실 딱히 오후가 아니더라도 모든 식곤증이나 기면증은 담적병 때문에 잘 발생한다고 본다. 그래서 이런 경우도 보약이 아닌 담적 치료와 함께 청간과 보간요법을 적용한다.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지나친 과로와 스트레스 같은 요인에 시달려 살아온 사람들은 대체로 몸의 장기가 약해져 있어 전반적으로 무력하다. 이럴 때는 약해져 있는 장기가 무엇인지 찾아내고, 해당 장기에 적합하게 보강하는 맞춤형 보약 처방을 적용한다. 끝으로 질병 때문에 피곤한 경우는 관련 질병을 근원적으로 접근하여 치료하면 자연히 피곤이 사라진다.


윤홍식  jesuspointer@naver.com


Articles

1 2 3